맨위로가기

교토 교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토 교엔은 메이지 시대부터 시작된 공원으로, 헤이안 시대부터 천황의 거처였던 교토 고쇼를 중심으로 조성되었다. 1788년 덴메이 대화재 이후 공가 마을이 형성되었고, 메이지 시대에 공가들이 도쿄로 이주하면서 황폐해진 교토 고쇼 주변을 정비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현재 교토 교엔은 교토 고쇼, 센토 고쇼, 오미야 고쇼 등 주요 시설과 역사적 유적,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있으며, 아오이 마쓰리와 시대 마쓰리 등 문화 행사가 열리는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토시의 공원 - 헤이안 신궁
    헤이안 신궁은 헤이안쿄 천도 1100주년 기념으로 헤이안 시대의 대내리 일부를 재현하여 건립되었으며, 간무 천황과 고메이 천황을 모시고, 헤이안 시대 후기 교토 고쇼의 조당원을 재현한 건축물과 일본식 정원을 갖춘 신사로서 지다이 마쓰리 축제가 열리는 일본 중요문화재이다.
  • 가미교구 - 교토 어소
    교토 어소는 일본 천황의 거처로 사용되었으며, 즉위식이 거행되던 궁궐로, 현재는 무료로 일반에 공개되어 관람할 수 있다.
  • 가미교구 - NHK 교토 방송국
    NHK 교토 방송국은 1925년 개설된 일본방송협회(NHK)의 지역 방송국으로, 라디오, 텔레비전, FM 방송을 운영하며 교토부 중심의 지역 뉴스, 정보, 드라마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방송하고 지역 사회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지역 문화 소개에 힘쓰고 있다.
교토 교엔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교토 고쇼 국립 정원
원어 이름京都御苑
위치일본 교토부 교토시
좌표35°02′32″N 135°46′40″E
면적약 65 ha
분류국민공원
운영자환경성
관리 사무소환경성 교토 고쇼 관리 사무소
사무소 소재지교토시 가미교구 교토 고쇼 3
웹사이트교토 고쇼
상세 정보
특징교토 고쇼의 외벽 밖에 위치한 공원
이미지
슈스이테이, 2019
슈스이테이, 2019
교토 고쇼 정문인 사카이마치 고몬
교토 고쇼의 정문・사카이마치 고몬

2. 역사

1877년 메이지 천황도쿄(에도성)로 거처를 옮긴 후, 구게 저택 등이 많았던 교토 어소 주변은 방치되었다. 치안 유지를 위해 빈집인 구게 저택들은 철거 정비된 후 교토 교엔이 되었다. 1949년 국민 공원으로 일반에 개방되었고 현재는 교토 어소, 센토 어소, 교토 오미야 어소 등이 있으며, 교토 교엔 안쪽은 궁내청에서 관할하고, 그 밖의 것은 일본 환경성에서 관리한다.

메이지 시대 도쿄 천도 당시, 궁가마치로서 교토 고쇼를 둘러싸고 있던 궁가 저택의 대부분이 이전하거나 폐허가 되었기 때문에, 메이지 천황은 그 황폐한 모습을 슬퍼하여 녹화를 실시하고 주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만들었다.[4] 약 140개에 달했던 궁가와 궁가 저택이 철거되어 황궁 부속지로 정비되었고, 전후 국민공원이 되었다.[5]

항공사진(2020년 촬영)


교토 교엔의 역사는 메이지 시대부터 시작되지만, 교엔의 중심인 교토 어소의 금리(禁裏)로서의 역사는 헤이안 시대의 쓰치미카도 내리(土御門東洞院殿)까지 거슬러 올라간다.[6] 이후 역대 천황이 이곳을 어소로 사용한 것은 1392년 남북조 시대가 통일되었을 때 쓰치미카도 내리가 정식 어소로 확인된 이후 메이지 시대까지이다.[6] 이 500여 년 동안 건물은 여러 차례 화재로 소실되는 등 성쇠가 있었으며, 특히 무로마치 시대부터 센고쿠 시대까지는 황폐해졌다.[6]

오다 노부나가교토로 올라와 내리 수축 및 재건을 시작하여 대규모 건축을 진행했다.[6]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수리뿐만 아니라 내리 주변 정비에도 힘을 쏟았다.[6] 덴쇼 연간, 히데요시는 대규모 도시 개조의 일환으로 도조(堂上) 구게를 교토 어소 주변으로 이주시켰다. 다만, 최근 연구에서는 구게 집주 정책은 오다 노부나가에게서 이어받은 것으로 교토 개조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며, 신케(新家) 설립으로 인한 토지 부족 및 경제적인 문제로 모든 도조 구게가 이 지역에 살 수 있었던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7]

이처럼 시내 곳곳에 흩어져 있던 많은 구게 저택이 금리 어소를 중심으로 모여 구게 마을을 형성했고,[6] 에도 시대에는 황실 재산 등 소령(所領) 책정이 이루어져 센토 어소나 오미야 어소 등 전사(殿舎)가 확충되었지만,[6] 현재의 교토 교엔과 비교하면 아직 상당히 좁았다.[8] 이후 구게 마을의 확장 정비 계기가 된 것은 교토 중심부를 불태운 1708년 호에이 5년의 대화재이다.[8][9] 이 화재로 내리를 비롯한 여러 어소와 구게 저택 78채뿐만 아니라 다이묘 저택 24채, 금리 관리의 관청 등을 모두 불태웠다.[8] 대화재 후 부흥을 위해 마루타마치도리 이북, 가라스마도리 이동에 있던 조닌 구역을 철거하고 그 부지를 구게들에게 분배하여 현재 교토 교엔의 원형이 되는 구획이 정비되었다.[8] 다만, 사방의 큰길에 면하여 9개의 문을 배치하고 그것들을 돌담으로 연결하여 주위를 둘러싼, 현재 볼 수 있는 정연한 직사각형으로 정비된 것은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였다.[8]

이와쿠라 도모미는 구관 보존을 위해서 1877년 어소 보존을 건의했다. 교토부청은 어소를 둘러싼 방화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늘어선 구 구게 저택의 빈집 철거와 부지 정비를 시작했다. 이것이 교토 교엔의 시작이다. 당초에는 주위의 토루와 해자를 정비하는 데 그쳤지만, 그 후에도 정비는 서서히 진행되어 1883년 교엔 관리가 교토부에서 궁내성으로 이관된 후에도 계속되었다. 다이쇼 천황의 즉위식이 교토 어소에서 거행되면서 정비는 급진전되어 겐레이몬(建礼門) 앞 대로에 대규모 개수 공사가 이루어져 거의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궁내성이 해체되면서 1949년에는 후생성의 관리 운영하에 교토 교엔은 국민 공원이 되었다. 1959년 새롭게 '교토 교엔'이라는 지명이 설치되었다.[10] 시가지에서 손꼽히는 넓이를 가진 이 새로운 주소(구획)로 구분된 마을은 가미교구에서 23개 마을[11], 나카교구에서 14개 마을[12]에 이른다.[10] 1971년 각 성청에서 환경 및 공해 관련 부서를 통합하여 환경청이 창설되면서 후생성 대신관방 국립공원부도 환경청으로 이관되었고, 이에 따라 교토 교엔도 환경청 관할이 되었다. 이것이 환경성으로 계승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교토고쇼(京都御苑)에 인접하여 서쪽에는 호왕신사(護王神社), 동쪽에는 리키신사(梨木神社)가 자리하고 있다.[13] 호왕신사에는 헤이안쿄(平安京) 최초의 천황인 간무천황(桓武天皇)의 충신 와케노 기요마로(和気清麻呂)가, 리키신사에는 막말 교토에서 보낸 마지막 천황인 코메이 천황(孝明天皇)의 중신 산조 사네쓰무(三条実万)가 각각 신으로 모셔져 있다. 이 신사들은 모두 교토고쇼의 보존이 결정된 후인 메이지 18년, 19년에 이르러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거나 건립되었다.[13]

고쇼 보존에 힘쓴 이와쿠라 도모미(岩倉具視)는 말년에 고쇼 내 옛 센도 고쇼(仙洞御所) 터에 간무 천황을 모시는 헤이안진구(平安神宮) 건립을 구상했다. 이와쿠라 사후에도 궁내성(宮内省) 관계자들은 헤이안진구에 근접하는 형태로 두 신사를 건립하려는 생각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13] 결과적으로 헤이안진구는 더 넓은 부지가 확보된 오카자키(岡崎)(교토시)에 건립되었고(메이지 28년), 리키신사와 호왕신사는 고쇼의 동서에 남게 되었다. 다이쇼(大正) 4년(1915년), 두 신사는 교토고쇼에서 거행된 「다이쇼 천황 즉위식」 축하 행사의 일환으로 각각 신을 한 분 더 모셨다. (리키신사: 산조 사네토미(三条実美), 호왕신사: 와케노 히로무시(和気広虫))[13]

한편, 간무 천황과 코메이 천황을 신으로 모시는 헤이안진구는 매년 예제 때 두 개의 신여(신교)(鳳輦)를 오카자키에서 교토고쇼의 겐레이몬(建礼門)까지 행차시켜 제전을 거행하고 있다. (시대마쓰리(時代祭) 참조)[13]

2. 1. 교토 고쇼의 역사

1877년 메이지 천황도쿄(에도성)로 거처를 옮긴 후, 구게 저택 등이 많았던 교토 어소 주변은 방치되었다. 치안 유지를 위해 빈집인 구게 저택들은 철거 정비된 후 교토 교엔이 되었다. 1949년 국민 공원으로 일반에 개방되었고 현재는 교토 어소, 센토 어소, 교토 오미야 어소 등이 있으며, 교토 교엔 안쪽은 궁내청에서 관할하고, 그 밖의 것은 일본 환경성에서 관리한다.[6]

교토 교엔의 역사는 메이지 시대부터 시작되지만, 교엔의 중심을 이루는 교토 어소(京都御所)의 금리(禁裏)로서의 역사는 헤이안 시대의 쓰치미카도 내리(土御門東洞院殿)까지 거슬러 올라간다.[6] 이후 역대 천황이 이곳을 어소로 사용한 것은 1392년 남북조 시대가 통일되었을 때 쓰치미카도 내리가 정식 어소로 확인된 이후 메이지 시대까지이다.[6] 이 500여 년 동안 건물은 여러 차례 화재로 소실되는 등 많은 성쇠가 있었으며, 특히 무로마치 시대부터 센고쿠 시대까지는 황폐해졌다.[6]

이러한 수축, 재건을 시작한 것은 교토로 올라온 오다 노부나가였으며, 이 시대에 내리는 상당히 대규모로 건조되었다.[6] 이어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에는 수리뿐만 아니라 내리 주변 정비에도 힘을 쏟았다.[6] 덴쇼 연간, 히데요시는 대규모 도시 개조의 일환으로 도조(堂上) 구게를 교토 어소 주변으로 이주시켰다. 다만, 최근 연구에서는 구게 집주 정책은 오다 노부나가에게서 이어받은 것으로 교토 개조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며, 신케(新家) 설립으로 인한 토지 부족 및 경제적인 문제로 모든 도조 구게가 이 지역에 살 수 있었던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7]

이처럼 시내 곳곳에 흩어져 있던 많은 구게 저택이 금리 어소를 중심으로 모여 구게 마을을 형성했고,[6] 에도 시대에는 황실 재산 등 소령(所領) 책정이 이루어져 센토 어소나 오미야 어소 등 전사(殿舎)가 확충되었지만,[6] 현재의 교토 교엔과 비교하면 아직 상당히 좁았다.[8] 이후 이러한 구게 마을의 확장 정비 계기가 된 것은 교토 중심부를 불태운 1708년 호에이 5년의 대화재이다.[8][9] 이 화재로 내리를 비롯한 여러 어소와 구게 저택 78채뿐만 아니라 다이묘 저택 24채, 금리 관리의 관청 등을 모두 불태웠다.[8] 대화재 후 부흥을 위해 마루타마치도리 이북, 가라스마도리 이동에 있던 조닌 구역을 철거하고 그 부지를 구게들에게 분배하여 현재 교토 교엔의 원형이 되는 구획이 정비되었다.[8] 다만, 사방의 큰길에 면하여 9개의 문을 배치하고 그것들을 돌담으로 연결하여 주위를 둘러싼, 현재 볼 수 있는 정연한 직사각형으로 정비된 것은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였다.[8]

메이지 시대가 되면서 메이지 천황을 따라 많은 구게가 도쿄로 옮겨갔고, 화족 제도 발족과 함께 모든 화족의 도쿄 천도가 의무화되면서 구게 저택은 텅 비게 되었고, 교토 어소 주변은 급속히 황폐해졌다. 이러한 상황을 우려한 이와쿠라 도모미는 구관 보존을 위해서도 된다는 이유로 1877년 어소 보존을 건의했다. 이를 받아들여 교토부청은 어소를 둘러싼 방화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늘어선 구 구게 저택의 빈집 철거와 부지 정비를 시작했다. 이것이 교토 교엔의 시작이다.

당초에는 주위의 토루와 해자를 정비하는 데 그쳤지만, 그 후에도 정비는 서서히 진행되어 1883년 교엔 관리가 교토부에서 궁내성으로 이관된 후에도 계속되었다. 다이쇼 천황의 즉위식이 교토 어소에서 거행되면서 정비는 급진전되어 겐레이몬(建礼門) 앞 대로에 대규모 개수 공사가 이루어져 거의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궁내성이 해체되면서 1949년에는 후생성의 관리 운영하에 교토 교엔은 국민 공원이 되었다. 1959년 새롭게 '교토 교엔'이라는 지명이 설치되었다.[10] 시가지에서 손꼽히는 넓이를 가진 이 새로운 주소(구획)로 구분된 마을은 가미교구에서 23개 마을[11], 나카교구에서 14개 마을[12]에 이른다.[10] 1971년 각 성청에서 환경 및 공해 관련 부서를 통합하여 환경청이 창설되면서 후생성 대신관방 국립공원부도 환경청으로 이관되었고, 이에 따라 교토 교엔도 환경청 관할이 되었다. 이것이 환경성으로 계승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 2. 공가 마을의 형성과 발전

1877년 메이지 천황도쿄(에도성)로 거처를 옮긴 후, 구게 저택 등이 많았던 교토 어소 주변은 방치되었다. 메이지 천황은 도쿄 천도로 궁가마치로서 고쇼를 둘러싸고 있던 궁가 저택 대부분이 이전하거나 폐허가 되어 황폐한 모습을 슬퍼하여, 치안 유지를 위해 빈집인 구게 저택들을 철거 정비하고 녹지를 조성하여 주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만들었다.[4] 약 140개에 달했던 궁가와 궁가 저택은 황궁 부속지로 정비되었고, 이후 국민공원이 되었다.[5]

교토 교엔의 역사는 메이지 시대부터 시작되지만, 교엔의 중심인 교토 어소헤이안 시대의 쓰치미카도 내리(土御門東洞院殿)까지 거슬러 올라간다.[6] 1392년 남북조 시대 통일 후 메이지 시대까지 역대 천황이 이곳을 어소로 사용했다.[6] 500여 년 동안 건물은 여러 차례 화재로 소실되는 등 성쇠를 겪었고, 무로마치 시대부터 센고쿠 시대까지는 황폐해졌다.[6]

오다 노부나가는 교토로 올라와 내리 수축 및 재건을 시작하여 대규모 건축이 이루어졌다.[6]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수리뿐만 아니라 내리 주변 정비에도 힘썼다.[6] 덴쇼 연간, 히데요시는 대규모 도시 개조의 일환으로 당상 구게를 교토 어소 주변으로 이주시켰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구게 집주 정책은 오다 노부나가에게서 계승된 것으로 교토 개조와 직접 관련이 없으며, 신케 설립으로 인한 토지 부족 및 경제 문제로 모든 당상 구게가 이 지역에 살 수 없었다.[7]

이처럼 시내 곳곳에 흩어져 있던 많은 구게 저택이 금리 어소를 중심으로 모여 구게 마을을 형성했다.[6] 에도 시대에는 황실 재산 등 소령 책정이 이루어져 센토 어소, 오미야 어소 등 전각이 확충되었지만,[6] 현재 교토 교엔에 비하면 좁았다.[8] 1708년 호에이 대화재는 교토 중심부를 불태워 내리, 어소, 구게 저택 78채, 다이묘 저택 24채, 금리 관인 관청 건물 등을 소실시켰다.[8][9] 대화재 후 부흥 과정에서 마루타마치도리 이북, 가라스마도리 이동 시가지 구역을 철거하고 구게들에게 분배하여 현재 교토 교엔의 원형이 되는 구획을 정비했다.[8] 현재처럼 사방 큰길에 9개 문을 배치하고 돌담으로 연결, 주위를 둘러싼 정연한 직사각형은 메이지 시대에 정비되었다.[8]

메이지 시대메이지 천황을 따라 많은 구게가 도쿄로 이동했고, 화족 제도 발족으로 모든 화족의 도쿄 천도가 의무화되면서 구게 저택은 비게 되었고, 교토 어소 주변은 황폐해졌다. 이와쿠라 도모미는 옛 관습 보존을 위해 1877년 어소 보존을 건의했고, 교토부는 방화지 확보를 위해 옛 구게 저택 빈집 철거 및 부지 정비를 시작했다. 이것이 교토 교엔의 시작이다.

2. 3. 메이지 시대 이후의 변화

1877년 메이지 천황도쿄(에도성)로 거처를 옮긴 후, 구게 저택 등이 많았던 교토 어소 주변은 방치되었다. 치안 유지를 위해 빈집인 구게 저택들은 철거 정비된 후 교토 교엔이 되었다.[4] 메이지 시대 도쿄 천도 당시, 궁가마치로서 고쇼를 둘러싸고 있던 궁가 저택의 대부분이 이전하거나 폐허가 되었기 때문에, 그 황폐한 모습을 슬퍼한 메이지 천황의 명으로 녹화를 실시하여 주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만들었다. 약 140개에 달했던 궁가와 궁가 저택이 철거되어 황궁 부속지로 정비되었고, 전후 국민공원이 되었다.[5]

이러한 상황을 우려한 이와쿠라 도모미는 옛 제도 보존을 이유로 1877년 어소 보존을 건의했다. 교토부는 어소를 둘러싼 방화 구역 확보를 위해 비어있는 구 공가 저택 철거와 부지 정비를 시작했는데, 이것이 교토 교엔의 시작이다.

처음에는 주변 토루와 해자를 정비했지만, 1883년 교토 교엔 관리가 교토부에서 궁내성으로 이관된 후에도 정비는 계속되었다. 다이쇼 천황 즉위식이 교토 어소에서 거행되면서 정비는 급진전되었고, 겐레이몬 앞 대로에 대규모 개수 공사를 실시하여 거의 현재 모습이 되었다.

전후 궁내성이 해체되면서, 1949년에는 후생성 관리 운영 아래 교토 교엔은 국민 공원이 되었다.

1971년 각 부처의 환경 및 공해 관련 부서를 통합하여 환경청이 창설되면서, 후생성 대신관방 국립공원부도 환경청으로 이관되었고, 이에 따라 교토 교엔도 환경청 관할이 되었다. 이것이 환경성으로 계승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4. 국민공원으로의 개방

1877년 메이지 천황도쿄(에도성)로 거처를 옮긴 후, 구게 저택 등이 많은 교토 어소 주변은 방치되었다. 치안 유지를 위해 빈집인 구게 저택들은 철거 정비된 후 교토 교엔이 되었다. 1949년 국민 공원으로 일반에 개방되었고 현재는 교토 어소, 센토 어소, 교토 오미야 어소 등이 있으며, 교토 교엔 안쪽은 궁내청에서 관할하고, 그 밖의 것은 일본 환경성에서 관리한다.[3]

메이지 시대 도쿄 천도 당시, 궁가마치로서 고쇼를 둘러싸고 있던 궁가 저택의 대부분이 이전하거나 폐허가 되었기 때문에, 그 황폐한 모습을 슬퍼한 메이지 천황의 명으로 녹화를 실시하여 주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만들었다.[4] 약 140개에 달했던 궁가와 궁가 저택이 철거되어 황궁 부속지로 정비되었고, 전후 국민공원이 되었다.[5]

현재 교토 고쇼, 교토 센도 고쇼, 교토 오오미야 고쇼의 축지 내부는 궁내청이, 2005년 4월에 개관한 교토 게이빈칸은 내각부가, 그 외는 환경성이 관리하고 있다.

  • -|]]|thumb|교토 고요엔 내부 모습


많은 나무들이 무성한 공원 내에는 교토 고쇼, 교토 센도 고쇼, 교토 오오미야 고쇼, 궁내청 교토 사무소, 황궁경찰본부 교토 호위서 등 궁내청·황궁경찰 관련 시설을 비롯해, 궁가 저택의 유적, 공원을 관리하는 환경성 교토 고요엔 관리 사무소 외에도, 일반사단법인 국민공원협회가 관리하는 운동장테니스 코트, 각 휴식 공간, 자료관, 레스토랑, 카페, 기념품점, 대형 주차장 등이 있어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 되고 있다.

2. 5. 인접한 두 신사

교토고쇼(京都御苑)에 인접하여 서쪽에는 호왕신사(護王神社), 동쪽에는 리키신사(梨木神社)가 자리하고 있다.[13] 호왕신사에는 헤이안쿄(平安京) 최초의 천황인 간무천황(桓武天皇)의 충신 와케노 기요마로(和気清麻呂)가, 리키신사에는 막말 교토에서 보낸 마지막 천황인 코메이 천황(孝明天皇)의 중신 산조 사네쓰무(三条実万)가 각각 신으로 모셔져 있다. 이 신사들은 모두 교토고쇼의 보존이 결정된 후인 메이지 18년, 19년에 이르러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거나 건립되었다.[13]

고쇼 보존에 힘쓴 이와쿠라 도모미(岩倉具視)는 말년에 고쇼 내 옛 센도 고쇼(仙洞御所) 터에 간무 천황을 모시는 헤이안진구(平安神宮) 건립을 구상했다. 이와쿠라 사후에도 궁내성(宮内省) 관계자들은 헤이안진구에 근접하는 형태로 두 신사를 건립하려는 생각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13] 결과적으로 헤이안진구는 더 넓은 부지가 확보된 오카자키(岡崎)(교토시)에 건립되었고(메이지 28년), 리키신사와 호왕신사는 고쇼의 동서에 남게 되었다. 다이쇼(大正) 4년(1915년), 두 신사는 교토고쇼에서 거행된 「다이쇼 천황 즉위식」 축하 행사의 일환으로 각각 신을 한 분 더 모셨다. (리키신사: 산조 사네토미(三条実美), 호왕신사: 와케노 히로무시(和気広虫))[13]

한편, 간무 천황과 코메이 천황을 신으로 모시는 헤이안진구는 매년 예제 때 두 개의 신여(신교)(鳳輦)를 오카자키에서 교토고쇼의 겐레이몬(建礼門)까지 행차시켜 제전을 거행하고 있다. (시대마쓰리(時代祭) 참조)[13]

3. 주요 시설 및 유적

1877년 메이지 천황도쿄(에도성)로 거처를 옮긴 후, 구게 저택 등이 많았던 교토 어소 주변은 방치되었다. 치안 유지를 위해 빈집인 구게 저택들은 철거 정비된 후 교토 교엔이 되었다. 1949년 국민 공원으로 일반에 개방되었고 현재는 교토 어소, 센토 어소, 교토 오미야 어소 등이 있으며, 교토 교엔 안쪽은 궁내청에서 관할하고, 그 밖의 것은 일본 환경성에서 관리한다.

교토 교엔은 데라마치 대로(동쪽), 가라스마 대로(서쪽), 마루타마치 대로(남쪽), 이마데가와 대로(북쪽)로 둘러싸여 있으며 넓이는 63만 제곱미터이다. 많은 수목으로 울창한 공원 내에는 교토 어소, 센토 어소, 교토 오미야 어소, 궁내성 교토사무소, 황궁경찰본부 교토호위서 등 궁내청 및 황궁 경찰기관과 관련된 시설을 비롯, 구조 가문 저택 등 적지 않은 구게 저택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운동장과 테니스 코트가 있어 시민의 휴식처로 안성맞춤이다. 2005년 4월에는 교토 영빈관이 개관하였다.

교토 시 중심부에 위치하며, 동서남북으로 테라마치도리, 가라스마도리, 마루타마치도리, 이마데가와도리에 둘러싸인 지역이다. 동서 약 700m, 남북 약 1300m 범위에 걸쳐 총면적은 92헥타르이다. 그중 환경성이 관리하는 국민공원인 교토 고요엔은 65헥타르이다.[3] 에도 시대부터 남아있는 9곳의 외곽 어문과 6곳의 끊어진 길을 가지고 있다.

메이지 시대 도쿄 천도 당시, 궁가마치로서 고쇼를 둘러싸고 있던 궁가 저택의 대부분이 이전하거나 폐허가 되었기 때문에, 그 황폐한 모습을 슬퍼한 메이지 천황의 명으로 녹화를 실시하여 주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만들었다.[4]

교토 고요엔 내부 모습


현재 교토 고쇼, 교토 센토 고쇼, 교토 오미야 고쇼의 축지 내부는 궁내청이, 2005년 4월에 개관한 교토 게이빈칸은 내각부가, 그 외는 환경성이 관리하고 있다.

교토 교엔의 문·데라마치 문


교토 교엔의 문·하마구리 문


9곳에 세워진 에도 시대부터 남아있는 공가마치에서 교토 교엔의 외곽 문인 고려문(사카이마치 문, 시모다치우리 문, 하마구리 문, 나카다치우리 문, 이누이 문, 이마데가와 문, 이시야쿠시 문, 세이와인 문, 데라마치 문, 9개 문 모두 현존)[16]과 교토 교엔을 둘러싼 돌담이 당시 공가마치의 넓이를 짐작하게 한다.

하마구리 문은 원래 '신자이에 문'이라 불렸으며, 열리지 않는 문이었으나, 1788년의 덴메이 대화재 때 처음으로 문이 열렸다. 이 때문에 '불길에 조개가 열린다'는 비유로 하마구리 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1864년(겐지 원년)에는 존왕양이파(장주번)와 도쿠가와 막부(아이즈번)의 전투인 하마구리 문의 변( '''금문의 변''' )이 발발했다. 현재도 이 전투의 흔적인 총탄 자국이 이 고려문에 남아 있다.

고쇼와 교토 센토 고쇼, 교토 오미야 고쇼 외에도 교토 고요엔에는 공가의 저택을 비롯한 많은 유구(遺構)가 남아 있다. 9곳의 교토 고요엔 외곽 문 외에, 남서쪽에는 가닌궁가(閑院宮家)의 저택이 보존되어 있다. 북쪽에는 계궁 저택 터(桂宮邸跡)의 저택 담장과 정문, 칙사문이 남아 있다(내부 건물들은 니조성(二条城) 본마루로 이축 보존되어 있다).

원숭이 辻의 모습. 모서리가 잘려나갔다. (2014년 2월 22일 촬영)


교토 고쇼의 북동쪽 모퉁이, 고쇼의 귀문(鬼門)에 해당하는 곳에 축문(御幣)을 맡은 산왕권현(山王権現)히요시샤(日吉社)의 원숭이가 부조로 새겨져 있다. 또한, 모서리가 직각이 아니고 일부가 들어가 있다. 분큐(文久) 3년(1863년), 존양파(尊攘派) 공가인 네코지 공지(姉小路公知)가 암살당한 곳이기도 하다(삭평문외의 변(朔平門外の変)).[19]

상기 건조물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중산저적''' - 가영 5년 9월 22일(1852년 11월 3일) 중산가의 산실에서 황자 우궁(사치노미야, 훗날의 메이지 천황)을 낳았으며, 메이지 천황의 유년 시절 이름인 "우궁"을 따서 지은 우물 "'''우정'''"(사치노이)이 현재도 유구로 남아 있다.
  • '''계궁저적''' - 저택의 흙담과 정문, 칙사문이 현존한다. 2022년 5월 20일, 메이지 시대까지 있었던 어전 터의 일부가 공개되었으며,[14][15] 어전 터에는 배치가 복원되어 있다.

니시젠지 저택 터 (2014년 2월 22일 촬영)

  • 백운신사(白雲神社) - 니시젠지가(西園寺家) 저택 터 옆에 있으며, 소노우키 삼신녀(宗像三女神) 중 한 분인 이치키시마히메노미코토(市杵島姫命)를 모신다.
  • 소노우키 신사(宗像神社) - 공가(하나산인가(花山院家)])] 저택 안에 있던

    3. 1. 교토 고쇼 (京都御所)

    1877년 메이지 천황도쿄(에도성)로 거처를 옮긴 후, 구게 저택 등이 많았던 교토 어소(교토 고쇼) 주변은 방치되었다. 치안 유지를 위해 빈집인 구게 저택들은 철거 정비된 후 교토 교엔이 되었다. 1949년 국민 공원으로 일반에 개방되었고 현재는 교토 어소, 센토 어소, 교토 오미야 어소 등이 있으며, 교토 교엔 안쪽은 궁내청에서 관할하고, 그 밖의 것은 일본 환경성에서 관리한다.

    교토 교엔은 데라마치 대로(동쪽), 가라스마 대로(서쪽), 마루타마치 대로(남쪽), 이마데가와 대로(북쪽)로 둘러싸여 있으며, 넓이는 63만 제곱미터이다. 수목이 울창한 공원 내에는 교토 어소, 센토 어소, 교토 오미야 어소, 궁내성 교토사무소, 황궁경찰본부 교토호위서 등 궁내청 및 황궁 경찰기관 관련 시설을 비롯해 구조 가문의 저택 등 적지 않은 구게 저택이 있다.

    교토 교엔의 역사는 메이지 시대부터 시작되지만, 교엔의 중심인 교토 고쇼(京都御所)의 금리(禁裏)로서의 역사는 헤이안 시대의 쓰치미카도 내리(土御門内裏, 쓰치미카도히가시토인도노(土御門東洞院殿))까지 거슬러 올라간다.[6] 이후 역대 천황이 이곳을 고쇼로 삼은 것은 1392년(메이토쿠 3년) 남북조 시대 통일 후 쓰치미카도 내리가 정식 고쇼로 확인된 메이지 시대까지이다.[6] 이 500여 년 동안 건물은 여러 차례 화재로 소실되는 등 성쇠를 겪었으며, 무로마치 시대부터 센고쿠 시대에는 황폐해졌다.[6]

    오다 노부나가는 교토에 상락(上洛)하여 내리 수축과 재건을 시작했고, 이 시대에 내리는 상당히 대규모로 건조되었다.[6]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내리 수리뿐만 아니라 주변 정비에도 힘을 쏟았다.[6] 덴쇼 연간, 히데요시는 대규모 도시 개조의 일환으로 도조(堂上) 공가(公家)를 교토 고쇼 주변으로 이주시켰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공가의 집주 정책은 오다 노부나가에게서 계승된 것으로 교토 개조와 직접 관련이 없으며, 신가(新家) 설립으로 인한 토지 부족, 경제 문제로 모든 도조 공가가 이 지역에 살 수 없었다.[7]

    이처럼 시내 곳곳에 있던 공가 저택이 금리 고쇼를 중심으로 모여 공가 마을을 형성하고[6], 에도 시대에는 황실재산(近世) 등 소령 책정이 이루어져 센토 어소, 오미야 어소 등 전각이 확충되었지만[6], 현재 교토 교엔과 비교하면 좁았다.[8] 1708년 호에이 5년의 대화(宝永の大火)로 교토 중심부가 불타 내리, 고쇼, 공가 저택 78채, 다이묘 저택 24채, 금리 관리 관청 등이 소실되었다.[8][9] 대화재 후 부흥을 위해 마루타마치도리 이북, 가라스마도리 이동 조닌(町家) 구역을 철거하고 그 부지를 공경들에게 분배하여 현재 교토 교엔의 원형이 되는 구획이 정비되었다.[8] 사방 큰길에 9개 문을 배치하고 석원(石垣)으로 연결하여 주위를 둘러싼 현재 모습은 메이지 시대에 정비되었다.[8]

    메이지 시대에 메이지 천황을 따라 많은 공가가 도쿄로 가고, 화족 제도 발족과 함께 모든 화족의 도쿄 천도(奠都)가 의무화되면서 공가 저택은 비게 되었고, 교토 고쇼 주변은 황폐해졌다. 이와쿠라 도모미는 구관(旧慣) 보존을 위해 1877년(메이지 10년) 고쇼 보존을 건의했다. 교토부는 고쇼를 둘러싼 방화 부지 확보를 위해 구 공가 저택 빈집 철거와 부지 정비를 시작했다. 이것이 교토 교엔의 시작이다.

    9곳에 세워진 에도 시대부터 남아있는 공가마치에서 교토 교엔의 외곽 문인 고려문(사카이마치어문, 시모다치우리 어문, 하마구리 어문, 나카다치우리 어문, 이누이 어문, 이마데가와 어문, 이시야쿠시 어문, 세이와인 어문, 데라마치 어문의 9개 문 모두 현존)[16]과 교토 교엔을 둘러싼 돌담이 당시 공가마치의 넓이를 짐작하게 한다.

    고쇼, 교토 센토 고쇼, 교토 오미야 고쇼 외에도 교토 고요엔에는 공가 저택 등 많은 유구(遺構)가 남아 있다. 9곳 교토 고요엔 외곽 문 외에 남서쪽에는 가닌궁가(閑院宮家) 저택이 보존되어 있다. 북쪽에는 게이궁 저택 터(桂宮邸跡)의 저택 담장, 정문, 칙사문이 남아 있다(내부 건물은 니조 성 본마루로 이축 보존).

    3. 2. 센토 고쇼 (仙洞御所)와 오미야 고쇼 (大宮御所)

    1877년 메이지 천황도쿄(에도성)로 거처를 옮긴 후, 구게 저택 등이 많았던 교토 어소 주변은 방치되었다. 치안 유지를 위해 빈집인 구게 저택들은 철거 정비된 후 교토 교엔이 되었다. 1949년 국민 공원으로 일반에 개방되었고 현재는 교토 어소, 센토 어소, 교토 오미야 어소 등이 있으며, 교토 교엔 안쪽은 궁내청에서 관할하고, 그 밖의 것은 일본 환경성에서 관리한다.

    메이지 시대 도쿄 천도 당시, 궁가마치로서 고쇼를 둘러싸고 있던 궁가 저택의 대부분이 이전하거나 폐허가 되었기 때문에, 메이지 천황의 명으로 녹화를 실시하여 주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만들었다.[4] 약 140개에 달했던 궁가와 궁가 저택은 철거되어 황궁 부속지로 정비되었고, 전후 국민공원이 되었다.[5]

    현재 교토 고쇼, 교토 센도 고쇼, 교토 오오미야 고쇼의 축지 내부는 궁내청이 관리하고, 2005년 4월에 개관한 교토 게이빈칸은 내각부가 관리하며, 그 외는 환경성이 관리하고 있다.

    많은 나무들이 무성한 공원 내에는 교토 고쇼, 교토 센도 고쇼, 교토 오오미야 고쇼, 궁내청 교토 사무소, 황궁경찰본부 교토 호위서 등 궁내청·황궁경찰 관련 시설을 비롯해, 궁가 저택의 유적, 공원을 관리하는 환경성 교토 고요엔 관리 사무소 외에도, 일반사단법인 국민공원협회가 관리하는 운동장테니스 코트, 각 휴식 공간, 자료관, 레스토랑, 카페, 기념품점, 대형 주차장 등이 있어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 되고 있다.

    에도 시대에는 황실 재산 등 소령 책정이 이루어져, 센토 고쇼와 오미야 고쇼 등 전각이 충실해졌다.[6]

    3. 3. 구조 가문 저택 유적 (拾翠亭)

    구조 가(九条家) 유구의 슈스이테이 정면 출입구


    안쪽 중앙에 보이는 것은 슈스이테이 본채 (2014년 2월 22일 촬영)


    슈스이테이 본채 내부


    교토 교엔 내에는 구조 가문의 저택을 비롯한 구게 저택 유적이 남아있다.

    3. 4. 간인노미야 저택 유적 (閑院宮邸跡)

    간인노미야 저택 수납전시관


    간인궁 재인친왕(閑院宮載仁親王)이 1877년(메이지 10년)에 도쿄로 이주할 때까지 사용했던 저택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건물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명확하지 않다. 1883년(메이지 16년) 5월, 간인궁 저택 부지에 궁내성 교토시청사(宮内省京都市庁舎) 건설이 시작되어 같은 해 12월에 현재와 유사한 형태의 건물이 완성되었다. 이후 관리 주체가 궁내성(宮内省)에서 후생성(厚生省), 환경성(環境省)으로 변경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17]

    건물은 중앙의 안뜰을 중심으로 네 개의 동이 둘러싸고 있는 형태이다. 동쪽 건물에는 정면에 입모야조(入母屋造) 지붕 형태의 뻐꾸기 파풍(破風)이 설치된 차양 현관이 있다. 남쪽 건물은 자료 전시실과 수장고로 사용되며, 남쪽 전체에 (庇)를 덧댄 큰 기와지붕의 휜 지붕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서쪽 건물은 강의실, 북쪽 건물은 사무동으로 사용되고 있다.[17] 소규모 수선이 반복되었으나, 건물 전체의 파손과 뒤틀림이 심해져 2003년(헤이세이 15년)에 전면적인 보수 정비가 이루어졌다. 외관은 건설 당시의 모습을 유지하면서, 이후 추가된 불필요한 부분이나 내부 개조 부분은 철거 및 정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006년(헤이세이 18년) 3월에 보수가 완료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교토고엔(京都御苑)의 자연과 역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납 전시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정원도 함께 관람할 수 있다.[18]

    3. 5. 그 외 유적


    • '''중산저적''' - 가영 5년 9월 22일(1852년 11월 3일) 중산가의 산실에서 황자 우궁(사치노미야, 훗날의 메이지 천황)을 낳았으며, 메이지 천황의 유년 시절 이름인 "우궁"을 따서 지은 우물 "'''우정'''"(사치노이)이 현재도 유구로 남아 있다.

    • '''계궁저적''' - 저택의 흙담과 정문, 칙사문이 현존한다. 2022년 5월 20일, 메이지 시대까지 있었던 어전 터의 일부가 공개되었으며,[14][15] 어전 터에는 배치가 복원되어 있다.


    9곳에 세워진 에도 시대부터 남아있는 공가마치에서 교토 교엔의 외곽 문인 고려문(사카이마치 문, 시모다치우리 문, 하마구리 문, 나카다치우리 문, 이누이 문, 이마데가와 문, 이시야쿠시 문, 세이와인 문, 데라마치 문, 9개 문 모두 현존)[16]과 교토 교엔을 둘러싼 돌담이 당시 공가마치의 넓이를 짐작하게 한다.

    하마구리 문은 원래 '신자이에 문'이라 불렸으며, 열리지 않는 문이었으나, 1788년의 덴메이 대화재 때 처음으로 문이 열렸다. 이 때문에 '불길에 조개가 열린다'는 비유로 하마구리 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1864년(겐지 원년)에는 존왕양이파(장주번)와 도쿠가와 막부(아이즈번)의 전투인 하마구리 문의 변( '''금문의 변''' )이 발발했다. 현재도 이 전투의 흔적인 총탄 자국이 이 고려문에 남아 있다.

    고쇼와 교토 센토 고쇼, 교토 오미야 고쇼 외에도 교토 고요엔에는 공가의 저택을 비롯한 많은 유구가 남아 있다. 9곳의 교토 고요엔 외곽 문 외에, 남서쪽에는 가닌궁가(閑院宮家)의 저택이 보존되어 있다. 북쪽에는 계궁 저택 터(桂宮邸跡)의 저택 담장과 정문, 칙사문이 남아 있다(내부 건물들은 니조성(二条城) 본마루로 이축 보존되어 있다).

    교토 고쇼의 북동쪽 모퉁이, 고쇼의 귀문(鬼門)에 해당하는 곳에 축문(御幣)을 맡은 산왕권현(山王権現)히요시샤(日吉社)의 원숭이가 부조로 새겨져 있다. 또한, 모서리가 직각이 아니고 일부가 들어가 있다. 분큐(文久) 3년(1863년), 존양파(尊攘派) 공가인 네코지 공지(姉小路公知)가 암살당한 곳이기도 하다(삭평문외의 변(朔平門外の変)).[19]

    상기 건조물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가양궁(賀陽宮)·니시젠지(西園寺)·타카쓰가사(鷹司)·아리스가와(有栖川)·도고몬(土御門)·코노에(近衛)·이치죠(一條) 등 각 공가 저택 터.

    • 백운신사(白雲神社) - 니시젠지가(西園寺家) 저택 터 옆에 있으며, 소노우키 삼신녀(宗像三女神) 중 한 분인 이치키시마히메노미코토(市杵島姫命)를 모신다.

    • 소노우키 신사(宗像神社) - 공가(하나산인가(花山院家)])] 저택 안에 있던

4. 자연

교토 교엔에는 500종 이상의 식물이 있으며, 약 5만 그루의 나무가 자라고 있다. 대부분은 메이지 시대 이후에 심은 것이다. 소나무, 느티나무, 참나무류, 은행나무 외에도 매화, 복숭아, 벚나무, 배롱나무 등 꽃이 피는 나무도 많아, 교토 고쇼의 풍격과 사계절의 아름다움을 더한다. 제비꽃, 민들레 등의 초화류와 버섯류도 많이 볼 수 있다. 버섯류는 400종 이상이 확인되었으며, 일년 내내 관찰할 수 있다.[22]

원내에는 동물도 많이 볼 수 있다. 조류 관찰지로 알려져 있으며, 100종 이상의 조류가 확인되었고, 그중 약 20종은 원내에서 번식한다. 대표적인 조류로는 녹색비둘기, 흰턱멧새, 붉은머리오목눈이, 왜가리 등이 있다. 곤충류도 많이 보이며, 나비류 55종, 잠자리류 26종, 매미류 8종 등이 확인된다.[22]

센토 고쇼의 연못에는 어류가 서식하고 있다. 하제류 연구자로 알려진 상황은 여기서 채취한 흰점줄망둑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비와흰점줄망둑과 섬흰점줄망둑의 잡종종임을 밝힌 논문을 2019년에 발표했다.[21]

원내에는 자연과 친숙해질 수 있는 장소로서 "엄마와 아이의 숲", "잠자리 연못", "출수의 시냇물" 등이 정비되어 있다. "엄마와 아이의 숲" 안에는 "숲의 서재"가 있어 식물과 생물 등 자연에 관한 책이 비치되어 있다. 간인궁 저택 터의 수장 전시실에서는 자연과 역사에 대해 설명과 함께 배울 수 있다.[22]

5. 문화 행사

오다 공 상락렬
교토 삼대 축제 중 하나인 가을 시대 마쓰리(時代祭)

  • '''아오이 마쓰리(葵祭)'''(가모 축제)는 교토시 가모미야 신사(시모가모 신사)와 가모베쓰라이 신사(가미가모 신사)에서 5월 15일에 거행되는 예제(例祭)이다. 행사는 교토 교엔 켄레이몬(建礼門) 앞에서 시작된다.
  • '''시대 마쓰리(時代祭)'''는 헤이안 신궁의 예대제(10월 22일)에 부속된 연중 행사이다. 신궁 건립과 헤이안 천도를 기념하여 메이지 시대부터 시작된 교토 삼대 축제 중 하나이다. 행사는 교토 교엔 켄레이몬(建礼門) 앞에서 시작된다.

6. 교통

교통 수단노선 및 역
교토 시 지하철마루타마치역, 이마데가와역
게이한 전기철도데마치야나기 역, 마루타마치 역
교토시영버스(노선 정보 필요)
교토시영지하철 우라마루선마루타마치역, 이마데가와역
게이한 가모토선데마치야나기역, 징구마루타마치역


  • 참고: 교토시영버스 노선 정보는 원문에 없어 추가하지 못했습니다.

7. 기타

1877년 메이지 천황도쿄(에도성)로 거처를 옮긴 후, 구게 저택 등이 많았던 교토 어소 주변은 방치되었다. 치안 유지를 위해 빈집인 구게 저택들은 철거 정비된 후 교토 교엔이 되었다. 1949년 국민 공원으로 일반에 개방되었고 현재는 교토 어소, 센토 어소, 교토 오미야 어소 등이 있으며, 교토 교엔 안쪽은 궁내청에서 관할하고, 그 밖의 것은 일본 환경성에서 관리한다.

교토 교엔은 데라마치 대로(동쪽), 가라스마 대로(서쪽), 마루타마치 대로(남쪽), 이마데가와 대로(북쪽)로 둘러싸여 있으며 넓이는 63만 제곱미터이다. 수목이 울창한 공원 내에는 교토 어소, 센토 어소, 교토 오미야 어소, 궁내성 교토사무소, 황궁경찰본부 교토호위서 등 궁내청 및 황궁 경찰기관 관련 시설을 비롯해 구조 가문의 저택 등 적지 않은 구게 저택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운동장과 테니스 코트가 있어 시민의 휴식처로 안성맞춤이다. 2005년 4월에는 교토 영빈관이 개관하였다.

교토 시 중심부에 위치하며, 동서남북으로 테라마치도리, 카라마치도리, 마루타마치도리, 이마데가와도리에 둘러싸인 지역이다. 동서 약 700m, 남북 약 1300m 범위에 걸쳐 총면적은 92헥타르이다. 그중 환경성이 관리하는 국민공원인 교토 고요엔은 65헥타르이다.[3] 에도 시대부터 남아있는 9곳의 외곽 어문과 6곳의 끊어진 길이 있다.

많은 나무들이 무성한 공원 내에는 교토 고쇼, 교토 센도 고쇼, 교토 오오미야 고쇼, 궁내청 교토 사무소, 황궁경찰본부 교토 호위서 등 궁내청·황궁경찰 관련 시설을 비롯해, 궁가 저택의 유적, 공원을 관리하는 환경성 교토 고요엔 관리 사무소 외에도, 일반사단법인 국민공원협회가 관리하는 운동장테니스 코트, 각 휴식 공간, 자료관, 레스토랑, 카페, 기념품점, 대형 주차장 등이 있어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 되고 있다.

교토 시민들은 교토 교엔 지역을 “고쇼(御所)”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공원 안에서는 산책을 즐기는 사람이나 버드워칭을 하는 사람도 있다. 교엔의 북쪽에는 도시샤대학과 도시샤여자대학(두 학교 모두 이마데가와 캠퍼스)이 있어 벤치에 누워 있는 학생들의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또한, 주민들의 통행로가 되기도 하지만, 통로 부분은 포장되지 않고 자갈이 깔려 있기 때문에 자전거를 타고 달리기는 어렵다. 그러나 자전거 통행 흔적이 자갈길에 생겨 달리기 쉬운 부분도 있다. 이 통행 흔적은 고쇼의 좁은 길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통행 흔적은 자전거 한 대 폭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마주 오는 자전거가 있으면 서로 양보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23]

공원 안에는 교토부경찰과 황궁경찰이 항상 순찰을 하고 있으며, 교토고쇼나 센도고쇼의 담에 가까이 가면 센서가 반응하여 곧바로 주의를 받는다. 유의할 점은 공원 내 교토부 경찰과 황궁 경찰이 항상 순시하고 있으며, 교토 어소와 센토 어소의 담에는 센서가 있어 가까이 가면 반응한다는 것이다.

공원 내 무단방치 자전거가 2010년대에 들어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주로 인근 교토시영지하철마루타마치역 이용객이 세워 놓은 것으로 보인다.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는 공원의 미관을 해친다는 등의 이유로 철거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강하지만, 공원 안은 교토시의 철거 조례 적용 대상이 아니어서 공원 관리자인 환경성 등은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24] 그러나 나카즈메이치 휴게소 근처에 자전거 보관소가 설치되었다.

참조

[1] 서적 Nature Conservation in Japan https://www.google.c[...] Nature Conservation Bureau, Environment Agency, Japan 1995
[2] 서적 Quality of the Environment in Japan https://www.google.c[...] Environment Agency 1990
[3] 간행물 国民公園 京都御苑 環境省京都御苑管理事務所 2012-10
[4] 웹사이트 意外に知らない御苑のこと 御所との違いを知っていますか http://kamigyo.sakur[...] 上京区役所、上京ふれあいネット「カミング」
[5] 웹사이트 京都御苑概要 https://www.env.go.j[...] 環境省
[6] 서적 京都 町名ものがたり 京都新聞社 1979
[7] 서적 近世の公家社会と京都 集住のかたちと都市社会 思文閣出版 2015
[8] 서적 京都 町名ものがたり 京都新聞社 1979
[9] 논문 江戸時代の京都・公家町における災害と復興 思文閣 2012
[10] 서적 京都 町名ものがたり 京都新聞社 1979
[11] 문서 春日町、堀松町、五丁目町、桜鶴円町、鷹司町、龍前町、広橋殿町、観三橘町、梅屋町、今出川町、玄武町、新北小路町、常盤井殿町、革堂之内町、大原口町、大原口突抜町、真如堂突抜町、真如堂前町、染殿町、東桜町、荒神町、松陰町、信富町
[12] 문서 下御霊前町、石屋町、毘沙門町、昆布屋町、舟屋町、桝屋町、桑原町、四丁目、鍵屋町、坂本町、関東屋町、三本木町、光り堂町、大倉町
[13] 서적 京の社 塙書房 2000
[14] 웹사이트 公家邸跡の庭園 https://kyotogyoen.g[...] 環境省 2022-05-24
[15] 웹사이트 歴史にふれる:京都御苑 https://fng.or.jp/ky[...] 京都御苑 一般財団法人国民公園協会 2022-06-14
[16] 웹사이트 江戸時代からの外周御門 京都御苑 環境省 https://kyotogyoen.g[...] 環境省 2022-04-01
[17] 논문 閑院宮邸跡建物改修工事 財団法人国民公園協会京都御苑 2004-09
[18] 웹사이트 京都御苑 御苑案内図(閑院宮邸跡) https://www.env.go.j[...]
[19] 서적 京都大辞典 淡交社 1984
[20] 웹사이트 京都御苑 県井の山吹 https://www.kyoto-ta[...] 京都旅屋 2024-02-05
[21] 뉴스 天皇陛下がハゼの論文発表 魚類学者として33本目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4-05
[22] 서적 京都御苑の自然 観察ガイドブック 国民公園協会京都御苑 2010
[23] 웹사이트 京都御苑のサイクルロード http://mytown.asahi.[...] 朝日新聞 2007-09-29
[24] 뉴스 放置自転車:京都御苑が駐輪場!?市営地下鉄の利用者放置 環境省「条例基づき撤去を」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2-09-02
[25] 웹사이트 二条城の概要 https://nijo-jocastl[...] 二条城
[26] 웹사이트 第3回「京都御苑ずきの御近所さん」葵祭行列保存会会長京都橘大学名誉教授 猪熊兼勝様 https://www.env.go.j[...] 環境省 2016-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